찰스부코스키.
쉬운 언어로 자연스럽게 웃음을 주는 책.
작가가 들었던 바흐의 음악을 다운로드해서 들어본다.
작가의 느낌. 그가느꼈던 분위기를 알고싶으다.


찰스부코스키.
쉬운 언어로 자연스럽게 웃음을 주는 책.
작가가 들었던 바흐의 음악을 다운로드해서 들어본다.
작가의 느낌. 그가느꼈던 분위기를 알고싶으다.
Quiet - Susan Cain
책을 보다 보니, 예전에 넷플릭스에서 재미나게 봤던, ‘내안에 잠든 거인을 깨워라’ -토니 로빈슨 얘기도 나온다.
토니 로빈슨의 강연은 내면의 자아를 끄집어 밖으로 정확히 표출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했던 것 같다. 개인의 트라우마를 깨고 나올 수 있게 했던 것 같고. 사람들을 외향적으로 만드는 강사이고 그런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사업가다.
작가는 로빈슨 강연에 참가한 내용도 적으면서 사람들을 치료하는 것처럼 위장한 상업적 장사꾼으로 얘기했다.
지금 생각하니 작가의 말이 맞네^^
‘콰이어트’는 나를 정확히 어떤 사람인지 학문적으로 표현해 놓은 책 같아 좋다.
내향적이며 고 반응성 유전자를 지닌 사람. 그 고 반응성을 컨트롤 하려고 지금도 노력하고 있는 사람.
난,
-새로운 장소에 적응하려면 30분정도는 시간이 필요하다.
-말을 하는 것 보다 글로 적는게 더 편하다.
-글을 적을때 한번에 적을 수 없다. 쓰고 지우고 쓰고 지우고를 반복한다.
-몸의 감각은 나를 쉬게 놔두지 않고 예민하게 만든다.
-공부를 하면 할수록 더 불안하다. 그래서 알랭드 보통의 ‘불안’ 이란 책을 읽고 위로받는다.
철학책은 나의 감각, 증세를 당연하다 말하는 것 같아 위로가 된다.
이 고반응성 유전자는 엄마 > 나 > 아이에게 까지 이어지고 있다.
Product을 소개하는 Speaker를 한적이 있다. 백번을 연습하고, 무대에서 연기 하듯 웃으며 했다.
내 마음이 ‘스위트 스폿’에 오도록 만들어야 난 편안해 질 수 있다. 작은 발표를 하더라도 난 항상 연습이 필요하다.
난 그걸 알고 있다. 너무 피곤하지만 그게 나인걸, 싫지만 인정한다. 그리고 나에게 수고한다 얘기해 줘야 한다.
성격은 개조할 수 있지만 그것도 어느 선까지다. 타고난 기질 때문에 나의 삶은 항상 영향을 받고 있다.
어릴때 아이가 또래 집단의 가장자리에서 맴돌며 관찰만 하다가, 때로는 몇주나 몇 달간 그렇게 한 후에야 그 집단 안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보았다. 커가면서 그 기간은 조금더 짧아 지는 것 같다.
나를 이해하니 아이도 이해가 된다. 아이에게 ‘스위트 스폿’을 만들어 줘야지 하는 생각을 먼저하게 된다.
여기가 #2부까지 읽은 책의 느낌이었다
#3~4 부는 불안함이 느껴질 때 봐야지~